인프라/시스템 구축

[ node 정보 ] node에 접근해서 내용보기, 사용량

김붕어87 2025. 5. 14. 16:47
반응형

 

kubectl debug node/xxxnode정보.internal -it --image=busybox -- chroot /host

 

top 

ps -ef 

 

 

1. kubernetes에서 node 사용량 확인

kubectl top no 
ip-x-x-x-.ap-northeast-2.compute.internal    40m          2%       1983Mi          60%

 

 

2. pod 사용량 확인

kubectl top pod 
kubectl top pod -A

원하는 노드에서 돌아가는 pod 사용량 확인
kubectl get pod -A --output=custom-columns=NAMESPACE:.metadata.namespace,NAME:.metadata.name,NODE:.spec.nodeName | grep ip-x-x-x-x(노드아이피) |awk '{print "kubectl top pod " $2 " -n"$1}' |sh |grep -v NAME

 

 

3. 특이사항 

node 사용량과 pod 사용량이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

 

kubectl top pod는 실시간 정보가 아니라 metrics-server에서 kubelet API으로 60초간의 평균 사용량을 표시합니다.

pod에서 사용하는 것은  pod의 사용량 표시되고 

node에서 사용하는 것은 pod + k8s 관련 리소스 + OS 운영 리소스 + 등이 모두 포함된 사용량입니다.

그래서 pod와 node의 사용량 차이가 발생합니다.

 

node에서 어떤 내용으로 사용량이 많이 사용하는지 확인하려면, node에 접근해서 top 명령어로 확인

 

 

4. node 접근 

kubectl debug node/ip-x-x-x-x.ap-northeast-2.compute.internal -it --image=busybox -- chroot /host


ps aux --sort=-%mem | head
free -m 


top
top 명령어 후 shift + p (CPU 정렬)
top 명령어 후 shift + m (MEM 정렬)

 

 

 

반응형

'인프라 > 시스템 구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 EKS ] karpenter version 1.5.0  (0) 2025.06.19
[ time ] UTC, KST 변경  (0) 2025.04.30
[ service ] Type ExternalName  (0) 2023.06.29
[ EBS ] PV, PVC, POD 배포  (0) 2023.06.29
[ istio ] ALB 설정 (Internal,Internet-facing)  (0) 2023.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