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110

AWS - ENV 운영 환경

ENV 단위로 AWS 계정 분리 > prod, stg, dev > AWS 계정별로 비용 관리, 리소스 쿼터, 보안 분리, 운영환경 최적화 등 계정 네이밍 > aws-public-chain+{{project명}}-{{ENV}} (ENV가 없으면 기본 PROD 환경) > aws-public-chain+infradev > aws-public-chain+infraprod AWS Resource 의 효율적인 관리 및 자산파악을 위해 Naming 및 Tag 규칙을 마련 구분 종류 설명 {{project_name}} project 이름 대분류 서비스 이름이나 프로젝트 이름 {{environment}} prod/beta/dev/sandbox stage 단계 {{az}} 1a,2a,1b,2b,1c,2c 가용영역 {{se..

helm, chartmuseum

helm 이란? 링크 : https://github.com/helm/helm helm은 차트를 관리하기 위한 툴이다. kubernetes에서 배포하기 위해서는 yaml로 배포해야한다. 배포하는 리소스와 배포 환경이 많아질 수록 yaml파일의 개수는 엄청나게 늘어난다. 배포할 때마다 yaml을 지정해서 배포하는 것도 일이다. helm으로 yaml을 패키지화하면 1개의 패키지로 여러개의 환경을 배포할 수 있다. chartmuseum 이란? 링크 : https://github.com/helm/chartmuseum ​helm으로 패키지한 파일을 chartmuseum repository에 관리 할 수 있다. helm 설치 1. helm 다운로드 curl -sSL https://raw.githubuserconten..

CI - Jenkins

Jenkins 이란? Jenkins은 CI/CD 툴이다. > 지속적인 통합(Continuous Intergration), 지속적 배포(Continuous Delivery) Jenkins으로 빌드, 테스트, 배포 프로세스를 자동화하여 개발 생산을 올릴 수 있다. Jenkins을 사용하는 이유는 git에 데이터를 올리면 jenkins가 트리거 받아서 자동으로 JOB을 실행할 수 있다. 복잡한 빌드,배포를 자동화로 간편작업 할 수 있다. 개발자는 git에 데이터만 올리기만하면 나머지 빌드는 자동화으로 되기 때문에 개발에만 집중 시킬 수 있다. jenkins trigger 설정 1. github 접속 2. git webhook 설정 github에 데이터가 push되면 jenkins으로 webhook 전달하기 위..

CI - Docker image

CI docker build [ nginx 어플리케이션으로 docker image을 빌드 합니다. ] 1. docker 설치 2. index.html 파일 생성 > index.html 파일은 nginx에서 사용할 파일이다. > nginx docker image 빌드할때 nginx안에 index.html 파일을 복사할 용도로 생성한다. # mkdir build # cd build # vi index.html Welcome to nginx! ekstest - nginx1 http://nginx.org/">nginx.org. Commercial support is available at http://nginx.com/">nginx.com. Thank you for using nginx. 3. dockerfil..

CD - spinnaker

개요spinnaker은 넷플릭스에서 개발한 오픈소스(2015년 출시) CD(Continuous Delivery) Tool 이다.kubernetes pod를 배포 및 리소스를 관리 해준다.spinnaker는 pipeline 형태로 배포 한다.Git, jenkins, 등 여러가지 CI Tool을 연동을 지원해준다.spinnaker 공식 홈페이지 : https://spinnaker.io/docs/concepts/넷플릭스 기술 블로그 - spinnaker : https://netflixtechblog.com/tagged/spinnaker # 필수 사항1. Spinnaker를 배포 할 클러스터에서 사용 가능한 최소 4 개의 코어와 16GB RAM을 권장합니다. 2. java 설치 (Halyard requires..

EKS

EKS (Elastic Kubernetes Service) 이란? AWS kubernetes 시스템이다. AWS kubernetes은 마스터노드와 제어 영역을 설치 및 운영할 필요 없이 쿠버네티스 환경을 사용 할 수 있다. > kops으로 kubernetes를 구축하게되면, 마스터 노드 3대 이상 서버를 관리해줘야하고, 제어 영역(통신 방법, etcd 등)를 관리 및 설정해줘야한다. kubernetes 이란 ? kubernetes는 구글에서 2014년 오픈소스 공개 여러개의 마스터 노드(3개 이상)와 워커 노드로 구분된다. kubernetes 링크 : https://kubernetes.io/ 마스터 노드 기능 > 워커 노드와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관리한다. > API server : 사용자와 컨트롤 플레..

[ GitHub ] git 사용 방법

개요 git은 형상관리도구로 버전 관리로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누가 언제 어떻게 데이터를 수정했는지 확인 가능하다. 데이터의 권한 설정 할 수 있다. kubernetes에서 사용하는 yaml 파일을 Git형태로 관리하면 편리하다. git은 CI/CD 툴이랑 연동도 지원하기 때문에 사용하기 편리하다. 1. git 명령어 설치 sudo yum install git -y git clone git url 2. github 사용 방법 ㅇ 1. repository 복제 git clone "git URL" 2. git clone repository 내용 확인 및 내용 수정 3. git status 4. git add . 5. git commit -m "test" 6. git push origin

[ terraform ] 이란?

1. terraform 이란? 테라폼은 Hashicorp에서 만든 오픈소스이며,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IaC, Infrastructure as Code) 도구이다. 하시코프 언어 (HCL, Hasicorp Configuration Language)으로 클라우드 인프라를 구축 및 관리한다. 가능한 클라우드 : AWS, GCP, Azure 등 가능하다. 링크 : https://www.terraform.io/ 테라폼을 사용하는 이유 1. 여러 개의 AWS 환경(Prod, STG, DEV 등)을 테라폼으로 인프라 리소스를 정의해서 동일한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다. > module을 사용해서 변수의 내용만 변경해주면 prod, stg, dev 등 다양한 환경을 동일한 정보를 찍어 낼 수 있다. (정합성) 2. ..

환영합니다!

#1 글을 작성하고 블로그를 관리해보세요. 김붕어87님의 회원 가입을 진심으로 축하합니다. 이 글은 비공개로 작성돼 있습니다. '편집'으로 내용을 바꾸시거나, 삭제 후 '새 글을 작성'하셔도 됩니다. 글 뿐만 아니라 블로그의 각종 설정을 변경할 수도 있습니다. '블로그관리'를 확인해보세요. #2 다양한 스킨이 있어요. 티스토리에 있는 다양한 '스킨'도 살펴 보세요. 블로그나 사이트를 사용하는 목적에 맞게 스킨을 고를 수 있습니다. 어떤 이야기를 주로 하실 건가요? 잘 생각해 보시고, 마음에 드는 스킨을 고르세요. '스킨 편집'을 통해 다양한 커스텀, 그리고 홈 꾸미기를 적용하실 수도 있답니다. #3 포럼에서 사람들과 소통하세요. 마지막으로 사용하시다가 티스토리에 대해 궁금한 내용이 있다면 '포럼'을 확인..

카테고리 없음 2022.05.03
반응형